웹개발자공부/Git

GitHub 원격저장소와 Git init 된 로컬폴더 연동하기

박더그 2023. 1. 17. 03:19

GitHub 원격저장소와 Git init 된 로컬폴더를 연동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겪은 시행착오를 기록으로 남깁니다.

Git은 본인의 상황에 따라 필요 진행내용이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합니다.

 

1. GitHub의 원격저장소를 만들고 원격저장소에는 README.md파일만 있는 상태

2. 로컬 폴더는 별도로 Git init해둔 상태

3. 로컬 폴더에서 프로젝트 작업 진행중인 상태

 

저같은 경우 GitHub의 원격저장소는 별도로 만들어두고,

CRA로 프로젝트를 빌드 하니 위와 같은 상황이 생겼습니다.

 

작업폴더에서 커맨드를 열고 하기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여,

원격저장소와 로컬폴더를 연동합니다.

 

1. git remote add [<options>] <name> <url>를 입력하여 원격저장소 주소를 등록합니다.

ex)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duglikespiano/practice 

 

2. 원격저장소에 README.md파일이 이미 있는 상황이므로, git pull <remote> <branch>를 입력하여 해당 파일을 당겨옵니다.

ex) git pull https://github.com/duglikespiano/practice main

 

3. git add, git commit, git push순으로 진행합니다.

ex)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in <--첫 push이므로 좌측과 같이 기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