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사용되는 HTTP response status codes에 관해 간략히 정리합니다.

 

내용은 첨부URL을 기준으로 합니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Status

 

HTTP response status codes - HTTP | MDN

HTTP response status codes indicate whether a specific HTTP request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Responses are grouped in five classes:

developer.mozilla.org

 

- Successful reponses - 

200 OK

요청이 성공한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합니다.

하기 201과 204과 같이 특정한 경우를 제외합니다.

 

201 Created

요청이 성공하였고,

처리결과로 리소스가 생성된 경우에 사용합니다.

ex)회원가입, 게시글 작성, 댓글 작성 등

 

204 No Content

요청이 성공하였고,

처리 결과로 반환 할 리소스가 없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ex)회원탈퇴, 게시글 삭제, 댓글 삭제 등

 

 

- Client error responses -

400 Bad Request

클라이언트쪽의 에러라고 판단되어,

서버가 반응할 수 없거나 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401 Unauthorized

접근에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에,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접근 할 시 사용합니다.

*서버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모릅니다.

ex)토큰 없이 마이페이지 접근 등

 

403 Forbidden

권한이 없는 클라이언트가,

자료를 요청 할 경우 사용합니다.

*서버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알고있습니다.

ex)특정 국가에서 접근, 사용정지 당한 계정 차단 등

 

404 Not Found

클라이언트가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를 요청 할 경우 사용합니다.

ex)주소 오기입 등

 

 

- Server error responses - 

500 Internal Server Error

원인불명의 에러가 발생할 시 사용합니다.

 

503 Service Unavaliable

서버가 요청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합니다.

 

 

 

+ Recent posts